전체 글 87

# 10 Fast Fourier Transform (1)

1. Cooley-Tukey 분할 방식(Decomposition) Cooley-Tukey 분할 방식(Decomposition)을 사용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알고리즘은 이산 푸리에 변환(DFT)의 연산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다.1.1. Divide-and-Conquer 방식n과 k를 P와 Q에 대한 식으로 정리하여 분할Q-point DFTtwiddle factorsP-point DFTCooley-Tukey docomposition procdeureQ-point matrixtwiddle factor matrixP-point matrix 1.2. 재귀적 분해재귀적 분해로 인해 FFT의 시간 복잡도가 얼마나 주는지 확인해보자.기존 DFT의 연산량과 Dooley-Tukey D..

#0 Bayes' rule

1. Bayes' rule이란?"Bayes' rule in a rigorous method for interpreting evidence in the context of previous experience or knowledge."Bayes' Rule는 이전 경험이나 지식을 바탕으로 증거를 해석하는 엄격한 방법론이다. Prior를 기반으로 새로운 Evidence가 주어졌을 때 Posterior를 업데이트 하는 방식이라는 뜻이다.1.1. Bayes' rule의 의미P(H∣E): 사후 확률(posterior probability)로 증거 E가 주어졌을 때 가설 H가 참일 확률P(H): 사전 확률(prior probability)로 가설 H가 증거 없이 참일 확률P(E∣H): 가능도(likelihood)로 가..

#10 Linear Classifier (1)

linear classifier는 여러 개의 class가 존재하고 이에 대해 내적하는 것과 비슷하다.약간 정답이 정해져 있는 느낌 각, 클래스의 정답이 있고 웨이트가 이미 있는 느낌이고 loss에 걸리면 어떻게 되 이미지를 분류할 때 쓰는데 각 이미지 필터가 있으면 입력의 이미지에 값을 넣으면 내적하여 값이 비슷하면 비슷한 걸로 출력한다. loss 는 hinge loss가 있다.마진만 안 넘으면 된다.  SVM

#6 직류 회로

1. 기전력은 회로 내에서 어느 노드가 더 높은 전위를 가지는지를 알려준다일반적으로 내부 저항이 존재하나, 문제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으면 내부 저항은 무시하고 기전력만을 고려하여 계산한다.내부 저항이 언급될 경우, 실제 전압은 내부 저항에 의해 전류가 감소한 만큼 조정된다.2. 저항의 직렬과 병렬 연결 2.1. 직렬 연결 (Series) 저항이 직렬로 연결된 경우,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저항값에 비례한다.모든 저항의 합이 등가 저항이 된다. 2.2. 병렬 연결 (Parallel)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경우,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의 총합은 동일하다.병렬 연결에서는 전체 저항의 역수가 각 저항의 역수 합의 역수로 계산된다.3. 키르히호프 법칙키르히호프 법칙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전류 법칙(KCL..

#1 전기장

1. Coulomb's Law 두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그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이다.2. Electric Field (전기)전기장은 한 전하가 공간에 전기적인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나타낸다.중력계에서의 가속도와 비슷한 개념으로, 전기장은 전하에 의해 만들어지고 다른 전하가 그 안에 놓일 때 그 전하에 힘을 가하게 된다.전기장의 세기: 전하 q가 만드는 전기장 E와 그 전기장이 다른 전하에 미치는 힘3. 균일한 전기장 속에서 대전 입자의 운동 균일한 전기장: 공간의 특정 영역에서 전기장이 일정한 방향과 크기를 가지는 전기장이다.균일한 전기장에서 대전 입자는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일정하게 가속을 받는다.만약 전하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대전되어 있다면, 한 방향으로 계속..

#4 Lan Card, NIC의 마지막 세 번째 기능: MAC

1. Multiple Access Control1.1. Multiple Access Control이 필요한 이유여러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공유 매체(예: 유선 버스나 무선 채널)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다.하나의 공유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시에 전송을 시도하면 충돌(Collision)이 발생할 수 있다. Collision이 발생하면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손실된다.이 현상은 데이터 링크 계층(Layer 2, Data Link Layer)에서 발생한다.충돌은 특히 Broadcast 환경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예를 들어, 유선 네트워크에서는 여러 장치가 하나의 케이블을 공유하고,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공유 주파수를 사용한다.이런 환경에서는 다중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려 할 때 하나의 매체만을 사용하기..

#3 Data Link Control(Logical Link Control, LLC)

1. Data Link Layer의 두 개의 sublayers: LLC & MACData Link Layer는 두 개의 sublayers로 나눠져 있다. Data Link Control(Logical Link Control)과 Media Access Control로 나뉘며 각각 DLC(LLC), MAC이라고 불린다.1.1. NIC (Network Interface Card)NIC는 Data link layer와 physical Layer에 모두 관여하는 중요한 물리적 장치이다. Controller: 컨트롤러는 데이터를 언제 어떻게 보낼지를 결정하고 오류를 감지하고 복구하는 역할을 한다.Transceiver: 트랜시버는 데이터를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Tx)하고,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로 다시 수신(Rx)하는..

#2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Network에서 Data를 전송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고, data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Error Detection(오류 검출)과 Error Correction(오류 수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전송 매체에서 노이즈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광케이블에서의 비트 오류 확률은 10^(-9)정도로, 10억 bits 중 하나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 Error Detection(오류 검출) and Correction(오류 수정)1.1. Error Detection과 ARQ(오류 검출과 자동 재전송 요청)Error Detection은 오류가 발생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고 ARQ(Automatic Repeat reQuest)는 오류가 검출되었을 때 data의 ret..

#3 image의 기울기를 통한 magnitude, orientation, histogram

1. image의 기울기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Edge Detection1.1. Edge Detection과 기울기의 관계Edge Detection은 이미지에서 급격한 밝기 변화가 발생하는 부분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기울기는 이미지에서 픽셀 값(밝기 값)의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에 기울기를 계산하면 Edge(경계선)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1.2. Sobel(소벨) 필터 개념Sobel 필터는 이미지의 밝기 변화, 즉 기울기(gradient)를 계산하기 위한 필터이다. 기본적으로 수평과 수직 방향에서 밝기 변화를 감지하는 두 개의 필터로 구성된다.1.2.1. Sobel 필터 (x 방향 기울기)x 방향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때문에 x축과 평행한 Edge는 감지할 수 없다. x축과 평행한 Edge..

#8 Decision Tree (1)

1. Decision Tree란?1.1. Decision Tree의 의미Decision Tree는 데이터에 대해 Classification(분류 문제) 및 Regression(회귀 문제)에 사용되는 머신러닝 모델이다. 이 모델은 트리 구조로 데이터를 학습하며, 각 내부 노드는 특정 attribute(속성)에 대한 값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리하는 테스트를 진행하며, 최종적으로 예측 결과가 담긴 leaf node(최종 잎 노드)까지 도달하게 된다.1.2. Decision Tree의 특징- non-backtrackingDecision Tree가 예측을 하기 위해 root부터 leaf까지 한 번 선택한 경로는 다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노드를 따라 진행되는 선택 과정에서 한 번 내린 결정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