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2장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정수형, 문자열)-(1)

supersumin 2024. 7. 27. 19:00

[위 글은 "점프 투 파이썬(박응용 지금/위키독스)", 조코딩 "최신 파이썬 코딩 무료 강의 | 2024 점프 투 파이썬 통합본"을 참고하여 만들었습니다.]

0. 자료형이란?

숫자: 1+1 = 2

문자: '1'+'1'='11'

 

자료형에 따라 연산이 작용된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자료형을 아는 것은 그 언어의 반을 알고 있는 것과 같다.

 

* 자료형의 종류 *

숫자, 문자열, 불, 변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 변수란? *

: a라는 상자에 값을 담는다는 개념이다.

ex) a=3; // 변수 a라는 상자에 3이란 값을 넣는다.

ex) a = a+1; // 변수 a라는 상자에 a의 값과 1을 더한 정수의 값을 담는다.

 

 

1. 숫자형

  •  정수형 (int)

: 빠른 계산 가능, 정확한 값 계산 가능,

ex) 1, 2, -2

 

* type 확인법  *

: 변수명을 type() 함수 내에 넣으면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수형 (float)

: float, "부동"은 "떠서 움직이는 것"이라는 뜻으로 

: 1.24, -34.56

 

  •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

: 4.24e10, 4.24e-10와 같이 표현

 

  • 8진수

: 0o37와 같이 표현

 

  •  16진수

: 0x7A와 같이 표현

 

자료형과 관련하여 참고 링크를 첨부하겠다

https://supersumin.tistory.com/4

 

1.1 + 0.1 == 1.2가 아닌 이유(+실수 계산에 오차 발생 원인)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컴퓨터는 숫자를 어디에 저장하는가?: 주로 메모리(RAM)와 저장장치(HDD, SSD)에 저장된다. 또한 CPU 내의 레지스터도 숫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

supersumin.tistory.com

https://supersumin.tistory.com/6

 

묵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

1. 형변환(type conversion)이란?프로그래밍에서 변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의 형식이 일치하지 않을 때 데이터의 형식을 변경하는 과정이다.형변환은 주로 명시적 형변환, 묵시적 형변환 이

supersumin.tistory.com

 

* 사칙연산 * 

 

 

2.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은 숫자형과 달리 문자끼리 더한다면 바로 옆에 쓰는 것으로 인식한다.

 

- 문자열 자료형을 만드는 4가지 방법

  • "Hello World"
  • 'Python is fun'
  • """ Life is short, You need python """
  • ''' Life is short, You need python ''' 

-> 네 가지나 있는 이유

1) 문자열 안에 큰 따옴표 혹은 작은 따옴표를 넣기 위함이다.

2) 줄바꿈을 위해서다

 

* 이스케이프 코드 *

문자열 내에서 특수 문자를 포함하거나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퀀스이다.

 

\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작은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큰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문자열 연산하기

1) 문자열 더하기

두 문자열을 이어붙인다.

2) 문자열 곱하기

문자열을 지정한 횟수만큼 반복한다.

 

3) 문자열 길이 구하기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한다.

 

4) 문자열 인덱싱(indexing: 가리킨다)과 슬라이싱(slicing: 잘라낸다)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나 부분 문자열을 추출한다.

문자열 중 특정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연속된 문자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 ]-> 이상 : 미만)

간격에 따라 순행 역순을 정할 수 있다.([ : : ] 이상 : 미만 : 간격)

 

- 문자열 포매팅(String Fomatting)

: 변수의 값을 포함하여 동적으로 문자열을 생성하는 유용한 도구이다. 특정 값이나 문자를 포함하여 문자열을 출력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1) 퍼센트 포매팅 (Old Style String Formatting)

숫자를 바로 대입한다.

문자열을 바로 대입한다.

숫자 값을 나타내는 변수로 대입한다.

두 개 이상의 값을 넣을 때는 %(변수, 변수) 형태로 넣어주면 된다.

 

* 문자열 포맷 코드 *

  • %s: 문자열(string)
  • %c: 문자 1개(character)
  • %d: 정수(Integer)
  • %f: 부동소수(floating-point)
  • %o: 8진수
  • %x: 16진수
  • %%: Literal%(문자 %자체)

* 포맷 코드와 숫자 함께 사용하기 *

  • 정렬과 공백

포맷 코드를 10과 같이 쓰면 10개의 문자열 공간에서 값을 오른쪽부터 정렬하고 그 앞의 나머지는 공백으로 남긴다는 의미이다.

-10은 10개의 문자열 공간에서 왼쪽부터 정렬하고 나머지는 공백으로 채운다는 것이다.

  • 소수점 표현하기

소수점 네 번째 자리까지만 나타내고 싶은 경우 %0.4f로 작성한다. 0을 생락하여 %.4f로 사용할 수 있다.

두 가지 특징이 모두 반영된 모습이다.

 

2) format() 메서드

문자열의 format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3) f-strings (Formatted String Literals)

Python 3.6부터 도입된 f-strings는 가장 최신의 포매팅 방식이다.

문자열 앞에 f 접두사를 붙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 코드

 

 

- 문자열 관련 함수들